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조류인플루엔자

HOME 알림마당 주요전염병 조류인플루엔자

조류인플루엔자란?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AI VIRUS, AIV)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조류의 급성 전염병으로 전파가 빠르고 병원성이 다양하며, 닭·칠면조·오리·야생조류 등 여러 종류의 조류에 감염되어 사료섭취의 감소, 급격한 산란율 저하 및 폐사를 나타내는 조류의 질병임(야생조류 및 오리 등은 감염되더라도 임상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음)

원인체

  •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가금류(닭, 칠면조, 오리 등)에 감염되는 바이러스이며, 사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있음
  •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혈청형이 16가지, N혈청형이 9가지 종류가 있으며 산술적으로 존재 가능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혈청형은 144가지(16X9)이며, 혈청형은 H3N2, H9N2등으로 나타내고 바이러스의 병원성과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
  • 병원성에 따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약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비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구분되며 국내에서는 제1종 가축 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음

잠복기간

  • 닭에서의 HPAI 잠복기는 수 시간에서 3일 정도이며, OIE에서는 최대잠복기를 21일(3주)로 정하고 있음.
  • 계군의 크기나 최초 전염경로, 사양관리, 환경 등에 따라 잠복기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개체별로 보았을 때 대체로 수 시간에서 수일 이내의 짧은 잠복기를 가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약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비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구분되며 국내에서는 제1종 가축 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음.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근거로 국제수역사무국(OIE)이 정한 규정에 따라 분류되며, HPAI는 OIE LIST질병으로 분류되고, 국내에서도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규정하고 있음
  • HPAI는 100%에 이르는 높은 폐사율과 심각한 산란율 저하를 유발하여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히며 국가간 축산물의 교역에서 중요시 되는 질병임
  • AI 발생국가로부터 축산물(양계산물) 수입을 엄격히 제한고 있는 것도 HPAI가 지닌 위험성 때문이며, HPAI가 발생한 경우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국가들이 살처분 정책을 실시하고 HPAI 발생국으로부터 양계산물 수입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음

OIE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정의

폐사율이 75% 이상

4~8주령 SPF 닭의 8수중 6수 이상 폐사

H5, H7형이 아닌 경우

  • 75%미만 폐사
  • 세포변성(CPE)

H5 혹은 H7형인 경우

  • 세포변성(CPE)
  • HA 염기서열이 고병원성 특성 지님

전파방법

조류인플루엔자 (감염가금(철새 등), 해외유래, 불법 휴대, 육류) - 가축중개상인, 도축장/수송차량, 출입차량(분뇨, 사료, 톱밥), 수의사컨설팅(치료,동물약품 등), 축산도구, 장화, 종오리장, 부화장 등(종업원, 깃털, 쥐)
  •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비말, 물 등에 의하여 전파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전파방법은 분변의 직접적 접촉임. 사람의 발, 사료 차, 기구, 장비, 계란표면에 분변이 묻어 다른 닭에게 직접적으로 전파가 됨
  • 오리(집오리, 철새), 거위, 메추리 등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지만 임상증상은 잘 나타나지 않으면서 바이러스를 분변으로 배출함
  • 계란을 통한 난계대 전염은 일어나지 않으나 난각에 오염된 분변을 통하여 전파될 수 있으므로 질병발생 종계에서 생산된 종란과 병아리의 이동은 질병을 전파시킬 수 있음.
  • 분변 속에 있는 바이러스는 최소한 4℃에서 35일 이상 생존이 가능하며, 바이러스에 오염된 분변 1그램은 약 100만수의 닭을 감염시킬 수 있음.
  • 자연생태계의 야생조류, 특히 청둥오리와 같은 물새류에는 다양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감염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들 야생조류에서는 아무런 질병을 일으키지 않으며, 집오리나 거위에 감염되어도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임.
  • 특히 동절기 북방철새에 의해 국내 텃새들이 감염되고 이로 인해 농가의 닭· 오리 등이 감염되는 전파경로가 우려되는 만큼 야생조류에 의한 감염에 주의해야함.